본문 바로가기

카테고리 없음

교사 호봉, 초임 교사는 몇 호봉에서 시작할까?

초임 교사는 1호봉이 아니다? 호봉 산정 방식 완벽 정리!

 

교사로 처음 임용될 때 1호봉에서 시작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나요? 많은 사람들이 교사는 1호봉부터 시작한다고 생각하지만, 실제로는 학력, 교원 자격증, 군 복무 여부, 대학원 졸업 여부 등에 따라 8~12호봉으로 책정됩니다.

 

이번 글에서는 교사 호봉 산정 방식과 함께, 군 복무 및 대학원 졸업이 호봉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.

 

교사 호봉, 초임 교사는 몇 호봉에서 시작할까?

 

 

초임 교사 호봉 산정 기준

교사 호봉은 학력, 경력, 자격증, 군 복무 여부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하여 책정되며, 다음과 같은 요소로 결정됩니다.

 

 

1️⃣ 학력 및 교원 자격증

교사가 처음 임용될 때 적용되는 호봉은 취득한 교원 자격증의 종류에 따라 기본적으로 부여됩니다.

  • 정교사 2급 자격증을 소지한 경우 → 8호봉 적용
  • 정교사 1급 자격증을 소지한 경우 → 호봉 가산 가능

즉, 사범대학을 졸업하고 정교사 2급 자격증을 보유한 초임 교사는 기본적으로 8호봉에서 시작하게 됩니다.

 

 

 

2️⃣ 가산연수 (추가 호봉 인정)

  • 교육대학 또는 사범대학 졸업자는 추가 1호봉 인정 → 9호봉 적용
  • 대학원 석사 학위 취득 시 1~2호봉 추가 인정 가능

예를들어,

  • 4년제 사범대 졸업 + 정교사 2급 → 9호봉 적용 
  • 교육대학 졸업 + 정교사 2급 → 9호봉 적용
  • 사범대 졸업 + 석사 학위 취득 → 10~11호봉 적용 가능

 

 

 

3️⃣ 군 복무 경력 반영 여부

  • 군필자의 경우 복무 기간이 호봉으로 인정되지만, 학업 기간과 중복될 경우 조정될 수 있음
  • 일반적으로 군 복무 기간이 호봉으로 반영되면 2~3호봉 상승 가능
  • 교육청별로 해석이 다를 수 있으므로, 임용 예정인 교육청의 인사 담당 부서에 확인 필요

군 복무를 마친 경우, 복무 기간에 따라 호봉이 추가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. 군 복무를 마친 교사의 경우, 초임 시점에서 11~12호봉으로 임용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대학원 졸업이 호봉에 미치는 영향

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면 추가 호봉이 인정될 수 있지만, 적용 방식은 다음과 같이 구분됩니다.

  • 재직 중 대학원 졸업 → 연구 실적으로 인정되어 1~2호봉 상승 가능
  • 휴직 중 대학원 졸업 → 휴직 기간 동안은 경력으로 인정되지 않음
  • 연수휴직 활용 가능 → 일정 기간 동안 휴직하고 대학원 과정을 이수하는 방법 (연수휴직 기간은 경력으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음)
  • 석·박사 학위 취득 후 교직 입문 시 가산 가능 → 학위 취득 후 교사로 처음 임용될 경우, 1~2호봉이 추가 인정될 수 있음

정확한 호봉 인정 여부는 소속 교육청의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.

 

 

 

교사 호봉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방법

✅ 군 복무 인정 여부 확인 → 군 복무 경력을 최대한 인정받아 추가 호봉 확보합니다.
✅ 대학원 학위 취득 → 재직 중 석사·박사 과정을 이수하면 호봉 상승 가능합니다.
✅ 연수휴직 활용 → 연구 실적을 활용하여 연봉 상승 전략 고려해봅니다.
✅ 추가 자격증 취득 → 정교사 1급 승급 시 추가 호봉 적용 가능합니다.

교사 호봉 체계를 잘 이해하고 활용하면, 초임 시점에서부터 더 높은 연봉을 받을 수 있습니다.